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한자성어101

(정보) 사서오경 (四書五經) ※사서(四書) : 공자(孔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공자의 언행을 모아 놓은 것이기 때문에 격언이나 금언의 성격을 띠고 있다. : 맹자(孟子)가 정계를 은퇴한 뒤 말년에 그의 제자들과 함께 쓴 책으로, '인의(仁義)의 정치' 를 주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순자(荀子)계열의 사상가에 의해 전국시대 사상을 집대성한 책이다. :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지녀야 할 자세와 태도를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자사(子思)를 시작으로 유가 학자들의 해설이 더해져 완성 되었다. ※오경(五經) : 중국 최초의 시가집이다. 전한(前漢)시대에 , , , 만 남아있다. :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이다. 주나라의 정치철학을 대변하는 책으로 인정받고 있다. : 세계의 변화에 관한 원리를 기술한 책으로.. 2023. 1. 29.
(고사성어) 살신성인 (殺身成仁) 죽일 살 몸 신 이룰 성 어질 인 인의(仁義)를 위하여 몸숙을 바친다는 뜻으로,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옳은 도리를 행한다는 의미 의 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뜻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살기 위하여 인(仁)을 해치는 일이 없고, 오히려 자신의 목숨을 바쳐서라도 인을 행할 뿐이다[殺身成仁]." 이 말은 인을 위해 반드시 목숨을 바쳐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목숨과 인 모두를 지킬 수 없을 때, 덕이 있는 사람은 생명보다 인을 선택한다는 의미이다. 유가(儒家)의 중심 사상은 인이며, 인은 공자가 가장 중요시했던 덕목이다. 공자는 인을 충(忠)과 서(恕)라고 했다. 다시 말해 타인에 대한 자비와 인간애, 동정심을 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공자는 인이야말로 우주만물의 본질인 만큼 군자(君子)가 가장 먼저 .. 2023. 1. 28.
(고사성어) 백주지조 (栢舟之操) 잣나무 백 배 주 어조사 지 절개 조 잣나무 배의 굳은 지조라는 뜻으로, 과부가 재혼하지 않고 정조를 지킨다는 의미 의 에 나오는 말이다. 공강은 위(衛)나라 회후의 아들 공백과 결혼하였는데 남편이 뜻하지 않게 요절했다. 공강의 친정어머니는 젊어서 청상과부가 된 딸의 앞날이 걱정되어 딸에게 여러 번 재가를 권유했다. 그러나 공강은 그때마다 친정어머니의 요청을 거절하였고, 자신의 절개가 깊음을 다음과 같은 시로 표현했다. 잣나무 배가 강 위에 홀로 떠 있네. 汎彼栢舟在彼中河(범피백주재피중하) 두 갈래 다팔머리 그 분만이 진정 내 남편이었으니 談彼兩模實維我儀(담피양모실유아의) 죽어도 딴 마음을 품지 않으리니. 之死矢靡他(지사시미타) 하늘 같으신 어머니. 母也天只(모야천지) 어찌 제 마음을 그토록 몰라주십니까.. 2023. 1. 27.
(고사성어) 도청도설 (道聽塗說) 길 도 들을 청 길 도 말씀 설 길에서 들은 이야기를 길에서 말한다는 뜻으로, 길거리에 떠돌아다니는 뜬소문을 의미하는 말 어느 날 공자가 말했다.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는 것은 덕을 버리는 것이다.[道聽而塗說 德之棄也]." '도청도설(道聽塗說)'은 이 말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다. 길에서 들은 좋은 말을 간직해 수양의 양식으로 삼지 않고 바로 다른 사람에게 전하는 것은 스스로 덕을 버리는 것과 같다. 따라서 좋은 말은 마음에 간직하여 자기 것으로 해야 한다는 뜻으로 쓰였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쓰는 예는 후한(後漢)시대 반고가 엮은 에 있는 내용이다. "세상 이야기라는가 길거리의 뜬소문은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는[道聽塗說] 무리가 지어낸 것이다." +요즘 인터넷에는 도청도설에 불과한 이야기가 너무 많이.. 2023. 1. 2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