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초한지22

(고사성어) 토사구팽 (兎死狗烹) 토끼 토 죽을 사 개 구 삶을 팽 토끼를 잡으면, 사냥하던 개는 필요 없게 되어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 한신은 한나라 유방과 초나라 항우와의 싸움에서 유방이 승리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사람이다. 천하를 통일한 유방은 한신을 초왕(楚王)으로 봉했으나 항상 그를 경계했다. "한신은 유능한 자다. 언젠가는 나에게 도전할 것이다." 이때 마침 항우의 장수였던 종리매가 옛 친구인 한신에게 몸을 의탁하고 있었다. 항우와 패권을 다투던 시절 전투에서 종리매에게 괴로움을 당했던 유방은 종리매를 미워했다. 그가 초나라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유방은 한신에게 종리매를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한신은 차마 옛 친구를 배반할 수 없어 그 명령을 따르.. 2022. 10. 23.
(고사성어) 사면초가 (四面楚歌) 넉 사 낯 면 초나라 초 노래 가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가 들린다는 뜻으로, 누구의 도움도 받을 수 없는 고립된 상태를 이르는 말 '사면초가(四面楚歌)' 고사는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 와 이어져 있다. 앞에서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 고사를 소개할 때 이미 그 배경을 설명했지만, 초한지에서 가장 극적인 장면인지라 다시 한 번 사면초가 고사의 배경을 짧게 짚어 보도록 하자. 초왕(楚王) 항우와 한왕(漢王) 유방은 홍구를 경계로 천하를 양분하기로 하고 휴전했다. 싸움이 불리해진 항우의 휴전 제의를 유방이 받아들인 것이다. 하지만 한나라의 중신들은 유방을 독촉했다. "폐하, 이번 기회에 항우를 없애야 합니다." "맞습니다. 이번 기회에 항우를 없애지 못하면 나중에 크게 후회하게 될 것입니다." 유방은 .. 2022. 10. 22.
(고사성어) 역발산기개세 (力拔山氣蓋世) 힘 력 뽑을 발 뫼 산 기운 기 덮을 개 세상 세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하다는 뜻으로, 놀라운 기운, 기상을 의미하는 말 항우는 유방과 조약을 맺고 초(楚)나라의 도읍인 팽성을 향해 철군 길에 올랐으나 서쪽의 한중으로 철수하려던 유방은 참모 장량과 진평의 진언에 따라 말머리를 돌려 항우를 추격했다. 이윽고 해하에서 한신이 지휘하는 한(漢)나라 대군에게 겹겹이 포위된 초나라 진영은 군사가 격감한데다가 군량마저 떨어져 사기가 말이 아니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한밤중에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 소리[四面楚歌]가 들려오는 것이 아닌가. 그렇지 않아도 심신이 지칠대로 지친 초나라 군사들은 전의를 잃고 그리운 고향의 노랫소리에 눈물을 흘리며 다투어 도망을 쳤다. 항복한 초.. 2022. 10. 21.
(고사성어) 성동격서 (聲東擊西) 소리 성 동녘 동 칠 격 서녘 서 동쪽에서 소리를 지르고 서쪽을 친다는 뜻으로, 상대편에게 그럴듯한 속임수를 써서 공격하는 것을 이르는 말 한(漢)나라의 유방과 초(楚)나라의 항우가 서로 싸우던 중 위(魏)나라의 왕 위표가 항우에게 항복했다. 그 바람에 유방은 졸리에 항우와 위표의 공격을 양쪽에서 받게 되었다. 이에 유방은 한신에게 적을 공격하게 했다. 이때 위표는 백직을 대장으로 하여 황하(黃河)의 동쪽 포판(蒲坂)에 진을 치고 한나라 군대가 강을 건너오지 못하게 했다. 한신은 포판으로 쳐들어가기가 쉽지 않다고 판단하고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렸다. "낮에는 큰 소리로 훈련하도록 하고 밤에는 불을 밝혀 적극적으로 공격하는 표시를 나타내라." 한신의 군대는매일 똑같이 행동했다. 위나라의 대장 백직은 이러한.. 2022. 10. 2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