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열자5

(정보) 중국고서 (中國古書) :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천(司馬遷)이 상고시대의 중국과 그 주변민족의 역사를 포괄하여 저술한 중국 최초의 역사서이다. : 8권 8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중국의 철학서이다. 열자의 말을 문인과 후학들이 보완하여 책으로 엮었다. 우공이산(愚公移山) , 조삼모사(朝三暮四) 등의 고사로 유명하다. : 당(唐)나라 태종(太宗)의 지시로 방현령(房玄齡) 등이 쓴 진(晉) 왕조의 역사책이다. 현존하는 진나라의 유일한 전통 역사책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남조 송(宋)의 범염(范曄)이 편찬한 기전체 역사서이다. 광무제(光武帝)에서 헌제(獻帝)에 이르는 후한(後漢) 196년의 역사를 기록하였다. : 중국 전한(前漢)의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저술한 책이다. 봉건통치를 위해 .. 2023. 1. 7.
(고사성어) 조삼모사 (朝三暮四) 아침 조 석 삼 저물 모 넉 사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으로,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비유한 말 전국시대(戰國時代) 송(宋)나라에 저공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원숭이를 좋아해서 기르다 보니 무리를 이루었다. 저공은 원숭이들의 심리를 잘 알고 있었으며, 원숭이도 저공의 마음을 알았다. 저공은 자기가 먹을 것을 줄여 원숭이들의 식욕을 채워 주었다. 그러나 차츰 그 먹이를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마침내 먹이가 떨어져 가자 저공은 생각했다. '앞으로 원숭이들의 먹이를 어떻게 줄어야 하나...' 며칠 후, 저공은 원숭이들이 말을 듣지 않게 될까 두려워 먼저 다음과 같이 속여 말했다. "앞으로 너희들에게 주는 도토리를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로 제한하겠.. 2023. 1. 2.
(고사성어) 의심생암귀 (疑心生暗鬼) 의심할 의 마음 심 날 생 어두울 암 귀신 귀 의심하는 마음이 있으면 있지도 않은 귀신이 나오듯이 느껴진다는 뜻으로, 의심으로 인한 망상 또는 선입견으로 인한 판단 착오를 비유하는 말 어떤 사람이 도끼를 잃어버렸다. 그는 누군가가 자신의 도끼를 훔쳐갔다고 믿었다. 그 중에서 이웃집 아이가 수상쩍었다. 그의 걸음걸이를 보아도 그렇고, 길에서 자신과 마주쳤을 때는 슬금슬금 피하는 것 같았다. 그는 '저 녀석이 내 도끼를 훔쳐간 게 틀림없구나.' 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며칠 후 밭두렁에서 도끼를 찾았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이웃집 아이를 만났는데, 이버에는 그의 거동이 조금도 수상쩍어 보이지 않았다. +'의심생암귀'라고 했다. 마음을 열고 쓸데없는 편견에 사로잡히지 않아야 한다. 2022. 12. 30.
(고사성어) 우공이산 (愚公移山) 어리석을 우 귀 공 옮길 이 뫼 산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꾸준히 한 가지 일에 매진하면 결국 큰일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 옛날 중국에 태행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이 있었다. 이 산의 둘레는 무려 700리에 이르고, 높이는 만 길이나 되었다고 한다. 이 두 산 사이에 한 마을이 있었는데, 마을의 앞뒤를 두 개의 산이 가로막고 있어 다니기가 매우 불편했다. 그러던 어느 날, 이 마을에 사는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가족들을 불러 놓고 물었다. "산이 마을 양쪽을 막고 있어 늘 빙 돌아다녀야 하는데, 너희들은 불편하지 않느냐?" "불편합니다." "그래, 그럼 우리가 힘을 모아 저 산을 옮겨 버리도록 하자." 그러자 그의 부인이 깜짝 놀라 반대를 하고 나섰다. "아니, 당신은 지금 나이가.. 2022. 12. 2.
728x90
반응형
LIST